농업정보
• (기상) 기온은 평년(19.6~20.8℃)보다 높겠고, 강수량은 평년(6.8~45.4㎜)과 비슷하거나 많겠음 *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저기압 영향을 받을 때가 있겠음
• (저수율) 66.4%(평년 69.0%의 96.2%) * 9. 8. 기준
벼
• (후기 논 관리) 쌀 품질 향상을 위해 완전 물떼기는 출수 후 35일경 적기
• (수확 후 건조) 일반용은 45~50℃에서, 종자용은 40℃ 이하에서 건조하며 호흡량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안정 수분함량 약 15%까지 건조
• (저장조건) 수분함량 15%, 저장온도 10∼15℃, 상대습도 70∼80%를 유지
밭작물
• (땅콩) 수확시기는 9월 중순~10월 상순이며 10~15℃ 저온저장 해줌
• (고구마) 9월 하순~10월 상중순 수확, 큐어링은 온도 30~33℃, 습도90~95%에 4일간 실시, 통기가 잘되는 창고에서 10~15일간 예비 저장
• (보리·밀) 파종 전 준비 및 파종 적기 준수
• (풋거름 작물) 헤어리베치 파종 적기는 9월 하순~10월 상순임
채소
• (가을 배추‧무) 아주심기 후 15~20일 간격 웃거름, 병해충 예찰 및 방제
• (마늘‧양파) 씨마늘 소독, 난지형 마늘 9월 하순부터 파종, 양파는 10월 상순부터 아주심기 실시
• (시설채소) 과채류 광 환경 개선 위해 반사판 설치, 잎 따주기 등 실시
• (딸기) 활착 촉진 위해 자주 살수하거나 점적호스로 세밀히 관수
과수
• (과실수확) 잘 익은 과실만 골라 여러 차례 나누어 수확, 신품종 적기 수확
• (품질관리) 조생종 수확 10~15일전, 만생종 수확 30일 전후로 봉지 벗김
• (사전관리) 수확기 태풍, 집중호우, 강풍 대비 지지대 보강, 열매 가지 고정, 바람이 심한 곳은 방풍망 점검, 배수로 정비 및 경사지 비닐 피복
• (저온저장고) 내부를 물로 깨끗이 청소하고 하룻밤 말린 다음 소독제 살포
화훼
• (칼라) 잎이 노랗게 시들기 시작하면 구근 굴취, 세척 및 침지 소독 후 환기가 잘 되는 20~25℃ 장소에서 1~4일간 충분히 건조
특작
• (인삼) 메워심기는 2년생의 가을인 10월 중순부터 땅이 얼기 전인 11월 중순사이 실시
• (당귀) 정식한 그해 가을 10월 중순부터 수확하며, 건조된 약재는 온도가 낮고 건조한 곳에 저장
• (느타리버섯) 품종별 특성에 맞는 환경을 유지 시켜주며, 겨울 재배 농가는 종균, 배재 사전 확보 등 재배 준비를 해야 함